사업계획

발간사업의 지속적인 개선

가. 전력전자학회지

격월간(2, 4, 6, 8, 10, 12월 발행)으로 연 6회, 전면 컬러로 발간되고 있는 전력전자학회지는 전력전자 기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특집 기사뿐만 아니라, 새정보, 국내업체·연구소 소개, 알아봅시다, 국제학술대회 참관기, 신진 박사 소개, 쉬어가는 이야기 등 다양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. 학회지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여 보다 많은 독자를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.

  • 간 별 : 격월간(연 6회, 짝수월 20일 발행)
  • 사 이 즈 : 210 × 278 mm
  • 발간면수 : 90면/1회(연 540면)
  • 발간부수 : 1,300부/1회(연 7,800부)
  • 배 포 : 국내외 회원 및 유관 기관

나. 전력전자학회 논문지

격월간(2, 4, 6, 8, 10, 12월 발행)으로 연 6회 발간되고 있는 전력전자학회 논문지는 저자조판(camera ready form)으로 제작되고 있으며,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답게 수준 높은 편집체제를 갖추고 있다. 저널 홈페이지의 해외 접근성을 높이는 등 논문지의 국제화를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며, 2020년 8월호부터 보다 나은 서비스와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해 온라인으로 배포하고 있다. 회원들의 자발적인 논문지 투고를 유도해 투고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 중이며, 다양한 독자층이 논문지를 접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한다.

  • 간 별 : 격월간(연 6회 짝수월 20일 발행)
  • 사 이 즈 : 210 × 278 mm
  • 발간면수 : 75-85면/1회 10-11편(연 60-66편/480면)
  • 발간부수 : 40부/1회(연 240부)
  • 배 포 : 국내외 회원(온라인), 국내 유관기관(하드카피)

다. JPE(영문 논문지)

2001년에 창간되어 2008년까지 계간(1, 4, 7, 10월 발행)으로 발간된 영문논문지 JPE는 2007년에 학술연구재단 등재학술지와 SCOPUS에 등재된데 이어 2008년에는 SCI E에 등재되었다. 2009년부터 연 6회 홀수월에 발간되었으며, 2021년부터 연 12회 월간으로 발간될 예정이다. 2020년 1월호부터는 Springer Nature를 통해 출판이 되고 있으며, 심사기간 단축 및 신속한 출판, 인용지수 제고 등을 통하여 더욱 수준 높은 저널이 되도록 노력 중이다.

  • 간 별 : 월간(연 12회, 매월 20일 발행)
  • 사 이 즈 : 210 × 278 mm
  • 발간면수 : 100-200면/1회 10-15편(연 120-180편/1,900면)
  • 발간부수 : 30부/1회(연 360부)
  • 배 포 : 국내외 회원(온라인), 국내 유관기관(하드카피)

학술발표사업의 다양화

매년 여름에 개최하는 하계학술대회와 정기총회와 함께 개최하는 추계학술대회가 생동감 있고 유익한 행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, 연구회와 지부에서 개최하는 학술행사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. 그리고 수준 높은 발표 논문을 확보하고 세션의 진행도 국제학술회의에 견줄 수 있는 학회가 되도록 노력한다. 또한 신진 연구자(박사 이상)들의 발표를 유도하여 수준 높은 세션을 늘리고, 각 세션에 참석할 인원수를 늘려서 활발한 학술대회가 되도록 노력한다.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여 학술대회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온라인 학술대회 진행도 대비한다. 또한 각 연구회 활동 및 여성 전력전자인의 국내외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.

가. 2025년 동계세미나

  • 일 시 : 2025년 2월 13일(목)
  • 장 소 : 온라인
  • 행사내용 : 세미나 및 강연 등

나. 2025년 전력전자학술대회

  • 일 시 : 2025년 7월 7일(월) - 7월 10일(목)
  • 장 소 : 알펜시아(강원 평창)
  • 행사내용 : I.E 경진대회, 학술발표(오랄/포스터), 산업기술 세션, 특별 세션, 전시회 등

다. 2025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

  • 일 시 : 2025년 12월 5일(금)
  • 장 소 : 한국과학기술회관(강남)
  • 행사내용 : 학술발표(오랄/포스터), 정기평의원회, 정기총회 등

라. 연구회 및 지부 학술대회

  • 각 연 1회 이상 개최

마. 전문위원회 워크숍

  • 학술대회 때 개최

바. 정기 웨비나

  • 연 3~6회 마지막 주 금요일

기획 정보화 및 연구사업 활성화

가. 기획 및 정보화 사업의 활성화(기획)

  • 학회 국문/영문 홈페이지 편의성 및 정보 강화
  • 뉴스레터 발간 및 Webinar 활성화

나. 연구회 활성화(연구사업)

  • 연구회 활성화 및 활동 지원

다. 산학연 협력 방안 모색(산학협동)

  • 산업계 회원 확보 및 기술 정보 교류 추진

라. 국제 활동 활성화(국제)

  • 외국 학회 및 국제기관과의 교류 협력

제 행사 및 회의 활성화

  • 정기총회 : 연 1회 개최(11월)
  • 평의원회 : 연 1 - 2회 개최
  • 이 사 회 : 연 11회 개최(서면 회의 포함)
  • 운영위원회 : 연 6회 이상 개최
  • 논문지 및 JPE 편집위원회 : 연 6회 및 수시 개최
  • 학술위원회 : 연 2 - 3회 개최
  • 기타 회의 : 수시 개최
    - 명예회장단 회의, 상훈심의위원회 등
    - 연구회 위원장 및 전문위원회 위원장 회의
    - 연구윤리위원회, 국제위원회, 기금위원회, 교육위원회 등

회원확보활동 강화

  • 정회원의 유지관리 강화 및 회원대상 서비스 증대 강구
  • 졸업 및 취업한 학생회원의 추적 관리
  • 특별회원의 유치활동 강화
  • 단체회원의 관리 효율화
  • 산업계 회원 증대 방안 강구